조선도공 400년의 명맥


초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심당길 (当吉)
심당수 (当壽)
심당길 [도일(陶一)]
심도원 (陶円)
심당길 (当吉)
심당관 (当官)
심당수 (当壽)
심당원 (当円)
심당영 (当栄)
심당근 (当近)
심십신 (十信)
심수관 (壽官)
심수관 [정언(正彦)]
심수관 [혜길(惠吉)]
심수관 [일휘(一輝)]

히바카리다완 火計り茶碗
히바카리다완(火計り茶碗)은 1598년 겨울, 정유재란의 끝이 보일 무렵 일본으로 끌려간 선조 심당길(沈當吉)의 작품이다.
히바카리(火計り)는 ‘불(火)만 ’이란 뜻으로, 흙과 유약, 그리고 도혼(陶魂)은 조선의 것이고 오직 ‘불’만 일본의 것을 썼다는 뜻이다.
초대 심당길
(沈當吉)

1598년 정유재란이 막을 내리자 사쓰마(薩摩, 현 가고시마) 번주였던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는 전라도 남원 지역의 조선도공 80여 명을 납치해 끌고 갔다. 청송 심씨의 12대손 심당길(沈當吉)도 이들 중 한명이었다. 심당길의 본명은 심찬(沈讚)이었으며, 포로로 잡힌 것을 수치스러워하며 평생 아명인 당길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처음 정착했던 곳은 쿠시키노(串木野)였으나 원주민들과의 마찰 끝에 1603년 나에시로가와(苗代川, 현 거주지)로 이주한 후 나에시로가와(苗代川) 가마를 개관하였다. 그리고 고생과 노력 끝에 박평의(朴平意)와 함께 백토를 찾아냈으며, 그 결과 현재의 사쓰마야키(薩摩窯)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
13대 심수관

(沈正彦, 1889-1964년)
교토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후 심수관가의 전통을 이어 국내외 여러 전람회에서 최고상을 받는 등 도공으로서 빛나는 일생을 보내다 1964년 4월1일 75세를 일기로 작고하였다. 그러나 그가 활동했던 시기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거쳐 1910년 한일강제 병합, 그리고 2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지는 혼란의 시대였다. 이와 같은 가혹한 상황아래에서 심수관요를 지킨 것이 13대 심수관이었다. 또한 14대 심수관에게 다음과 같은 유명한 유언을 남겼다. “네 아들을 도공으로 만들어라. 내가 할 일도 그것뿐이었고, 네가 할 일도 그것뿐이다”
15대 심수관

12대 심수관
(沈壽官, 1835-1906년)
